반응형
확실한 논리 값을 받고싶을 경우 !!를 사용한다.
console.log(!!undefined) //false
console.log(!!null) //false
console.log(!!'') //false
사용 예시
apollo graphQL tutorial 의 일부분을 가져왔다.
return found && found.length
? found.map(l => l.dataValues.launchId).filter(l => !!l)
: [];
위 세 줄의 코드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.
found 가 존재하며 found가 길이 1 이상 이라면 전자를, 그렇지 않다면 후자를 반환한다.
전자: found array의 각 item의 launchId가 존재할 경우에만 array에 push함. 즉, [found에 존재하는 launchId]
후자: 빈 array
두 번째 줄에서 l이 undefined 혹은 null 일 경우 확실한 false를 받기 위해 !!를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.
반응형
댓글